예술철학 논문 번역

안녕하세요! “욕망의 형상화: 모호한 경계에 대한 시각적 탐구” 논문의 초록을 영어로 번역한 사례를 공유해봅니다. 욕망이라는 개념이 어떻게 드러나는지 주요 포인트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이카로스의 추락

이카로스는 태양에 가까이 다가가다 추락했다.

→ Icarus fell from the sky after flying too close to the sun.

‘after flying too close…’로 원인-결과를 강조합니다.

2. 히브리스(hybris)의 정의

신의 영역을 침범하려는 교만과 그로 인한 파멸을 고대 그리스에서는 ‘히브리스’라 지칭했다.

→ In ancient Greece, this arrogance in trespassing into the realm of the gods and the resulting destruction → was referred to as ‘hybris.’

arrogance와 trespassing을 병렬적으로 제시해 의미를 더 구체화합니다.

3. 라캉의 결핍 이론

라캉은 욕망이 결핍에서 파생되며, 어떤 것을 가지지 못했을 때 생기는 감정이라 한다.

→ Lacan noted that desire stems from deficiency and is an emotion that arises when one lacks something.

결핍이라는 개념을 deficiency로 번역하여, 라캉적 맥락을 유지하였습니다.

4. 스피노자의 정의

스피노자는 욕망을 감정이 아닌, 인간을 움직이는 동력이라 정의했다.

→ Spinoza defined desire not as an emotion but a driving force that moves humans.

동력을 driving force로, 존재론적 개념을 현대적 어휘로 풀었습니다.

5. 들뢰즈·가타리의 해석

욕망은 결핍이 아닌 새로운 것을 만들어낼 수 있는 생산의 힘이라 한다.

→ Desire is not a deficiency but rather a production that can create something new.

production이 강조되어 욕망이 창조적 힘이 부각됩니다.

6. 욕망의 선악 구분

욕망은 선이나 악이 아닌 것처럼, 그 경계가 모호하다.

→ As it is not about good or evil, its boundaries are vague.

모호하다를 vague로 변환하여, 철학적 뉘앙스를 간결하게 표현합니다.

7. 욕망과 목적의식

욕망을 그저 결핍이나 허황된 목적이라고 한다면, 다른 말로는 목적의식이라고도 할 수 있다.

→ If desire is simply a deficiency or a goal that is vain, it can also be considered a sense of purpose.

‘허황된 목적’이 ‘vain goal’로 표현되어 가치 판단적 뉘앙스를 드러냅니다.

8. 스머징 효과

스머징 효과로 경계가 흐리게 묘사된 형상…

→ blurred shapes created by smudging…

‘미술적 기법’을 ‘blurred shapes’로 옮겨 시각적 이미지를 더 직관적으로 전달합니다.

9. 경계 흐림의 의미

욕망이란 구체적인 형태를 지니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 showing that desire does not have a definite form.

‘definite form’을 통해, 형상의 부재가 ‘명확한 형식 없음’으로 강조됩니다.

10. 환영과 신기루

욕망은 환영과 같은 뚜렷한 형태가 아닌, 신기루와 같은 형상을 띠고 있다.

→ desire does not take on a distinct form like an illusion but rather a mirage-like form in the work.

illusion과 mirage는, 환상과 욕망의 차이를 시각적으로 강화합니다.

11. 디지털 컬러

채도가 높은 마젠타, 초록, 그리고 파랑을 사용하는데…

→ It uses highly saturated magenta, green, and blue colors…

색채의 채도를 강조하는 부분이 그대로 반영되어, 디지털 스크린의 욕망 자극성과 연결됩니다.

12. 신화의 현대적 재해석

현대에는 인간이 주체적으로 새로운 신화를 쓰고 있다.

→ Humans today are actively creating new myths.

actively라는 부사를 통해, 신화가 ‘능동적으로’ 재창조되는 모습이 부각됩니다.

13. 고전과 현대의 결합

고전 조형을 조형적 요소로 넣음으로써 인간의 본질과 시대를 넘은 현대 시대 또한 신화로 재해석한다.

→ By incorporating classical forms as sculptural elements, the work reinterprets the essence of humanity and the modern era as myth.

‘classical forms’와 ‘modern era’가 대비되며, ‘시간의 초월성’이 선명해집니다.

14. 욕망의 개념적 모호성

우리가 욕망이라 정의하는 것이 ‘욕구’인지, 아니면 ‘요구’인지 명확하게 구분할 수 없다.

→ It cannot be clearly distinguished whether what we consider as desire is a ‘need’ or a ‘demand.’

need와 demand는, 욕망의 철학적·언어적 이중성을 강조합니다.

번역을 통해, 욕망이 단순한 심리적 개념이 아니라 신화, 철학, 예술을 가로지르는 다층적 주제라는 점이 자연스럽게 드러납니다. 적절한 단어 선택이 욕망의 모호한 경계를 선명하게 드러냈습니다.

통역과 번역의 기준 – 솔로몬 통역번역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